Chez Duvent : 고등학교 프랑스어 학습자료
 
optimisé au Chrome,
Windows 11,
1920 x 1080 / utf-8
Chez Duvent 고등학교 프랑스어 학습자료  

    

프랑스어 문법
검색    
프랑스어 문법
단면 보기 책갈피 관리
⇐ 3.9.3.  Gérondif (부사적 분사) ⇑ 3.9.  분사법 3.9.6.  분사절 ⇒
책갈피 등록 PAGE: 162 3.9.4.  과거분사

과거 분사(participe passé)

    타동사의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 자동사나 대명동사의 과거분사는 완료의 의미를 갖는다.

 A. 형태
    프랑스어의 과거분사는 -é, -i, -s, -t, -u 중 어느 하나로 끝난다.

    1. ‘-é’ 형 
        원형이 ‘-er’로 끝나는 동사(모든 1군동사와 aller 동사) 및 naître 동사
 parler 말하다 → parlé  chanter 노래하다 → chanté 
 1군동사
 aller 가다 → allé
 naître 태어나다 → né   3군동사

    2. ‘-i’
        어미가 ‘-ir’로 끝나는 동사의 대부분(모든 2군동사와 sortir 동사, partir 동사 등)
 finir 끝내다 → fini  choisir 고르다 → choisi
 2군동사
 sortir 나가다 → sorti  partir 출발하다 → parti  3군동사

    3. ‘-u’
        어미가 ‘-oir’인 동사 및 ‘-re’인 동사의 대부분, ‘-ir’로 끝나는 동사의 일부
 recevoir 받다  → reçu  boire 마시다 → bu  courir 달리다 → couru
 voir 보다 → vu  vouloir 원하다 → voulu  pouvoir ~ 할 수 있다 → pu
 croir 믿다 → cru  rendre 돌려주다 → rendu  venir 오다 → venu

    4. ‘-s’ 형
 prendre 잡다  → pris  mettre 잡다  → mis
 asseoir 앉히다  → assis  acquérir 얻다  → acquis

    5. ‘-t’
 dire 말하다 → dit  faire 하다, 만들다 → fait  écrire 쓰다 → écrit
 mouriri 죽다 → mort  ouvrir 열다 → ouvert  couvrir 덮다 → ouvert


B. 용법
    현재분사와 동일하게 형용사적 기능과 동사적 기능을 갖는다.
    어느 경우에나 관계하는 명사의 성·수에 일치한다.

    1. 형용사적 용법 
        형용사처럼 명사 뒤에 놓여서 앞의 명사를 한정하거나 속사로 쓰인다. (부가 형용사, 속사, 동격 형용사)
        부가 형용사로 쓰였을 때는 명사 뒤에 놓인다.

        1) 부가적 용법
            Une maison ruinée. 쓰러진 집
            Un bateau brulé. 불타버린 배
            Les livres écrits par le même auteur. 같은 저자에 의해 쓰여진 책들
            Il s'adressa à un camarade assis devant lui. 그는 그의 앞에 앉아있는 한 동료에게 말했다.

        2) 속사적 용법
            Elles sont bien élebées. 그 여자들은 올바로 교육 받았다. (élebées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Elles: 주어의 속사)
            On l'a trouvé blessé. 사람들은 상처 입은 그를 발견했다. (blessé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l’(le 또는 la): 목적보어의 속사)
            Je la croyais morte. 나는 그녀가 죽었다고 믿고 있었다. (morte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la: 목적보어의 속사)

        3) 동격 형용사적 용법
            Bien élevé, Jean n'agit pas ainsi. 올바로 교육 받은 장은 이렇게 행동하지 않는다.

    2. 동사적 용법 
        조동사와 함께 복합시제, 부정법 복합형(부정법 과거), 수동태 등을 만든다.
        J'ai commencé à apprendre le français. 나는 프랑스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복합 시제]
        Il est aimé de tout le monde. 그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 받는다. [수동태]
        Ce papier est déchiré. 이 종이는 찢어졌다. [수동태]

    ☞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의미 차이
 현재분사   능동·진행  Un enfant jouant du piano. 피아노를 치고 있는 어떤 아이
 과거분사  타동사  수동  Un vase cassé  깨진 꽃병
 Une femme aimée de tout le monde 모든 이로부터 사랑 받는 여인
 자동사,
 대명동사
 완료  Les arbres morts 죽은 나무들
j'ai trouvé mon ami sorti. 나는 내 친구가 외출한 것을 알았다.


    3. 명사적 용법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 (-e를 첨가하면 여성형이 된다).

 l'accusé 피고인  le blessé 부상자  le délégué 대표자
 l'employé 사원  l'inconnu 무명인  le mort 사망자

PAGE: 162 Last Update : 2023/03/03    Read: 4357    책갈피 등록
3.9.5.  과거분사의 성수일치 PAGE: 163 책갈피 등록

과거분사의 성·수일치

A. 왕래발착동사의 복합 시제에서는 과거분사가 주어의 성·수에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Il est arrivé 그가 도착했다. - Elle est arrivée. 그녀가 도착했다.
    Ils sont venus 그들이 왔다. - Elles sont venues. 그 여자들이 왔다.

B. 직접목적보어가 동사보다 선행할 경우에 과거분사는 직접목적보어의 성·수에 일치해야 한다.
    (직접목적보어가 동사 보다 나중에 나올 때는 불일치)

    1. 복합시제의 경우
        Il a presenté Mme Vincent à Paul. → Il l'a presentée à Paul. 그는 뱅상씨를 폴에게 소개했다.
        Il a donné les gommes à Paul. → Il les a données à Paul. 그는 그 지우개들을 폴에게 주었다.

    2. 의문문의 경우
        Quelles vestes a-t-il achetées? 그는 어떤 자켓을 샀습니까?
        Quelle fleur a-t-il achetée? 그는 어떤 꽃을 샀습니까?
        Quels livres avez-vous lus? 당신은 어떤 책들을 읽었습니까?

    3. C'est ... que 강조용법의 경우(직접목적보어 강조구문)
        Paul m'a donné cette gomme. 폴이 나에게 지우개를 주었다.
        → C'est la gomme que Paul m'a donnée. 이것이 폴이 나에게 준 지우개이다.

        Il a donné la veste à Paul 그는 폴에게 자켓을 주었다.
        → C'est la veste qu'il a donnée à Paul. 이것이 그가 폴에게 준 자켓이다.

    4. 관계대명사절의 경우(직접목적보어가 관계대명사의 que의 선행사일 때)
        Il a acheté une veste hier. Il porte la veste. → Il porte la veste qu'il a achetée hier. 
        그는 어제 자켓을 하나 샀다. 그는 그 자켓을 입고 있다. → 그는 그가 어제 산 자켓을 입고 있다.

        Vous avez acheté une cassette hier. Prêtez-moi la cassette. → Prêtez-moi la cassette que vous avez achetée hier.
        당신은 어제 카세트를 하나 샀습니다. 나에게 그 카세트를 빌려주십시오. → 당신이 어제 산 카세트를 나에게 빌려주십시오.

    5. 대명동사의 경우 
        위 규칙에 따라 대명동사의 보어(se)가 직접목적보어일 때만 과거분사는 대명동사의 보어에 성·수를 일치시킨다.
        Elle s'est regardée dans la glace. 그녀는 거울을 보았다. (거울 속에서 자신을 보았다) [se는 직접목적보어]
        Elle s'est dit "C'est difficle!" 그녀는 '이건 어렵군!'하고 혼잣말을 했다. (자신에게 말했다) [se는 간접목적보어]

    ⚠ 동사 뒤에 보다 명백한 직접목적보어가 있을 때 대명동사의 보어는 간접목적보어로 간주된다.
            ex.) se laver 동사 (씻다)
            Elle s'est lavée. 그녀는 (몸을) 씻었다.  [se는 직접목적보어]
            Elle s'est lavé les mains. 그녀는 손을 씻었다. [se는 간접목적보어, les mains이 직접목적보어]
            ☞ 두 번째 문장의 경우 les mains이 명백한 직접목적보어이므로 se는 간접목적보어로 간주되며, 
                 따라서 과거분사는 se와 일치되지 않는다.

Last Update : 2023/03/06    Read: 5177 PAGE: 163    책갈피 등록
⇐ 3.9.3.  Gérondif (부사적 분사) ⇑ 3.9.  분사법 3.9.6.  분사절 ⇒
  /341  
Page View 55 / 11186201
개인정보 보호정책        저작권 신고 DEPUIS 2001.03.01     Copyright by Chez Duvent. All rights reserved.